분류 전체보기 162

[교사,수업에서 나를 만나다]_김태현 .2장: 수업 속 신념을 살피며 성찰하기

오늘 아침에는 바이올린 소리가 한결 부드럽게 났다. 악기를 하나 오랫동안 꾸준히 하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갈수록 쇼츠같은 짧은 호흡의 것들이 유행하는 속에, 무언가 하나를 오랫동안 연습하고 다듬어가는 경험이 참 좋다. ■ 밑줄친 문장들 수업을 통해 '내가 누구인지, 세상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알려 주고, 참다운 행복을 누리는 지혜를 가르쳐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적 신념이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 세상의 허황된 성공 논리에 쉽게 좌우돼서는 안 된다. 조금은 더디고 힘들지라도 내 수업을 입시 점수 올리는 수업이 아닌 삶을 가꾸는 수업으로 변화시켜 가야 하는 것이다. '수업이 학생들의 삶을 변화시킨다'는 신념이 교사의 마음속에 제대로 뿌리내리기 시작하면 이것으로부터 수업이 바뀐다. 수업을 준비하는 마..

[교사, 수업에서 나를 만나다]_김태현. 2-1. 내 수업은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오늘 아침에 장동선 교수님의 동영상을 봤는데, '완벽하게 시작하려고 하지말고 대충 시작하라.'는 영상이었다. 일단 시작을 하고 나면 완성도가 올라간다. 우리의 뇌는 생각 다음에 행동을 하기도 하지만, 행동을 하면서 생각하게 되기도 한다. 작은 습관의 힘을 나는 믿는데, 깊이 생각하지 말고, 그냥 매일 조금씩 무언가를 해 나가는 것은 정말 중요한것 같다. 아침에 짧은 시간 바이올린 연습도, 짧은 독서도 하루하루 쌓이다보면 생각지 못한 결과를 가져오게 될것이라 믿는다. ^^ 오늘 읽은 부분. ■밑줄그은 문장들 철학이 없는 수업은, 교사가 많은 행위를 해도 각 행위들이 목적없이 배열된 채 단절되어 있다. 좋은 수업에는 교사의 행위를 일관된 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는 수업 철학이 반드시 있는 것이다..

[교사, 수업에서 나를 만나다]_김태현. 1장. 수업을 보며 성찰하기

나는 보통 오전7시에 출근을 한다.아침에 출근해서 30분정도는 책을 읽는데,가능하면 아침에는 수업 관련 책을 읽으려고 한다.^^ 조금씩이라도, 더 나은 교사가 되기를 꿈꾸면서. 얼마전 [최고의 교사]를 다 읽고,두번째 책은 [교사, 수업에서 나를 만나다]라는 책을 읽기 시작했다. 를 읽으며 생각한 것들. 1. 수업을 예술로 볼 것인가? "수업은 체크리스트 하나만으로 측정할 수 없는 그 이상의 것이다. 수업은 예술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획일화된 틀로 교사의 수업을 평가하려고 할 때가 많다.. 수업을 좀 더 깊게 성찰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공학적인 시선을 벗어 던지고 교사가 어떻게 수업을 연출하느냐를 볼 수 있어야 한다." 나는 개인적으로 수업을 예술로 보는 것에..

유발 하라리_[넥서스] 리뷰. 4장. 오류-무오류성이라는 환상.

■4장 요약. 4장은 종교와 과학 두 가지를 비교한다.종교는 자정장치가 없다. 기존의 정보에 오류가 있어서도 안되고, 반대의견이 나타나서도 안된다. 완전무결해야한다. 대신 장점은 기존 질서를 잘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과학은 자정장치가 있다. 오류를 발견해내는 것이 그 본질이기 때문이다. 과학 기관이 자정 장치를 갖출 수 있는 이유는 사회 질서를 다른 기관(경찰, 군대, 정부 등)에서 유지하기 때문이다.  정치적으로 보면 독재는 질서를 유지하지만 자정장치가 없고, 민주주의는 자정장치가 있지만 질서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AI가 민주주의의 자정기능을 강화할지 약화할지가 앞으로 살펴봐야할 중요한 질문이다.  ■ 4장 핵심단어: 자정장치와 질서   ■ 밑줄 그은 문장  자정 장치는 진실 추구에 필수적이지만 ..

[ebs가 선택한 최고의 교사] , 선생님들의 공통점

다 읽고나니 책에 실린 선생님들의 공통점이 있다.  1. 학생들의 사고력,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는데 초점을 맞출 것2. 실제 삶과 수업을 연결시킬 것 본인의 스타일과 과목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들이 있었지만,내가 느낀,  최고의 교사 분들의 수업의 공통점이다.  나온 방법들과 기법들을100% 다 반영을 할 수는 없겠지만,적어도 이 두가지를 늘 마음에 품고 임해야겠다고 생각했다.

[ebs가 선택한 최고의 교사] 미술 김현정 선생님. 데페이즈망 기법(낯설게 하기) 내가 받고 싶은 미술 수업^^

내가 정말 받고 싶은 미술 수업이었다.그리고 내가 지향해야할 미술 수업의 모습이기도 하다. [ebs가 선택한 최고의 교사] 책에서 제일 마지막에 나온 이유는 아마도 과목이 '미술'이어서였겠지만(선생님 순서도 국어-영어-수학-통합논술-역사-도덕-지리-미술 순... 주요과목순인가요?^^)나에게는 가장 큰 인사이트를 준 선생님이기도 하다.(개인적으로 미술수업에 관심이 많기도 해서..^^) - ■ 밑줄그은 문장들 "저는 미술이 자기 생각을 논리적으로 설득력 있게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작업이 생각하는 것이고, 그 다음이 자기 경험과 접목하는 것, 마지막 단계가 보고 느낀 것을 시각화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자기 자신만의 표현법을 갖게 되는 거죠." 김현정 선생..

[ebs가 선택한 최고의 교사] 도덕과 이호중 선생님. 팡세 노트

이호중 선생님 수업의 특징은 도덕이라는 교과에 철학적 탐구 공동체를 접목시켜 학생들 스스로 공부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됨됨이와 생각하기를 동시에 길러준다는 목표를 만족시키고 있지요.  이호중 선생님은 논술교육이 특정 과목에서만 가르칠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논술은 글쓰기 이전에 사고력이 우선되어야 가능한데, 사고력이 형식이라면 그 내용은 인문사회과학이나 자연과학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 모든 것을 관통하는 것이 윤리학의 모학문인 철학이다. 논술공부에는 그런 지식을 관통하는 핵심적 질문과 그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그는 논술을 잘하려면 쓰기능력만으로는 부족하며, 글쓰기보다는 오히려 사고력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도덕 교과는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교..

[ebs가 선택한 최고의 교사] 역사 최태성 선생님. 사람에 주목하는 역사 수업

"역사에는 여러 가지 사실fact이 있습니다. 흔히 사람들은 그 사실들을 암기하는 것이 역사공부라고 생각합니다. 중고등학교 시절 사실들을 암기했지만 성인이 되었을 때, 과연 그것들을 얼마나 기억하고 있을까요? 다 잊었을 겁니다. 그건 지극히 정상적인 일입니다. '주체'가 사라진 사실은 의미가 탈색된 기록이기 때문입니다. 정말 중요한 건 사실과 사실을 이끌어나가는 '사람'입니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사실이 아니라 사람에 주목해야 합니다. 과거의 역사적 사실 속에 담긴 사람, 사람들의 고뇌와 선택에 주목하는 것이 진정한 역사공부입니다." 어렸을때 내가 가장 어려워했던 과목이 국사였다. 이해되지 않는 내용을 달달달 외우는 것에는 소질이 없는지라, 국사 시험은 늘 다른 과목과 달리 처참했다. 그러다가 고등학..

유발하라리_[넥서스]리뷰. 3장. 문서: 종이호랑이의 위협

1부 3장. 문서: 종이호랑이의 위협 ▤ 3장 간단 요약 ▤ 대규모 사회를 질서정연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두 종류의 정보가 필요하다. 한 가지는 신화 같은 이야기이며, 또다른 한 가지는 관료제다. 관료제는 권력이 작동하는 방식을 바꾸었는데, 그 권력을 이해하기가 훨씬 어려워졌다. ▤밑줄친 문장들 ▤ 목록이 가진 큰 문제점이자 이야기와 결정적으로 다른 점은 목록은 이야기보다 훨씬 지루한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야기는 쉽게 기억해도 목록은 기억하기 어려워한다. 이것은 인간 뇌의 정보 처리 방식과 관련이 있는 중요한 사실이다. 우리 뇌는 아무리 많은 양의 정보도 이야기 형태로 만들면 쉽게 흡수하고 기억하고 처리하도록 진화했다. (우리나라 역사 교육의 가장 큰 맹점이 아닐까. 달달달 외운 ..

[넥서스]_유발 하라리. 2장. 이야기:무한한 연결.

밑줄친 문장들  사피엔스 무리들 사이의 협력이 가능해진 것은 허구적 이야기를 말하고, 믿고, 그런 이야기에 깊이 감동받을 수 있게 되면서부터였다.  사피엔스는 이제 서로를 개인적으로 알지 못해도 협력할 수 있었다. 똑같은 이야기를 알고 있기만 하면 되었다. 그리고 그 똑같은 이야기를 수십 억 명이 공유할 수 있었다. 이렇듯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이 무제한으로 접속할 수 있는 무제한의 콘센트를 제공하는 중앙 연결 장치가 될 수 있다.  상품만이 아니라 개인도 브랜딩할 수 있다. .. 사람들은 자신이 특정인과 연결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 사람에 대한 이야기와 연결되는 것이고, 이야기와 실제 인물 사이에는 대개 거대한 간극이 존재한다.  스토리텔링 이전에 있었던 두 차원의 현실은 객관적 현실과 주관적 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