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ce Note.

마키아벨리[군주론]정리 2편. 튀르크는 쉽고, 프랑스는 어려운 이유 (feat. 알렉산드로스 대왕) 본문

[매일 독서 리뷰]

마키아벨리[군주론]정리 2편. 튀르크는 쉽고, 프랑스는 어려운 이유 (feat. 알렉산드로스 대왕)

민들레 씨앗 2024. 9. 4. 18:26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군주론 4장을 읽어봅니다.

 

>4장 요약

 

제4장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정복된 다리우스 왕국

 

1. 의문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고 난후  피정복 국가들이 들고 일어나지 않고, 후계자들이 별 어려움 없이 이 큰 영토를 보전할 수 있었던 까닭은?

 

2.보통 영토는 두 가지 방법에 의해 통치.

 

1) 한 군주와 총애 받는 대신들이 다스림(군주 권력이 절대적)

2) 한 군주와 제후들이 다스림

- 제후들은 군주의 덕택이 아니라 오랜 집안 내력으로 말미암아 지위 차지한 것

- 제후들은 각기 자기들의 영토를 지니고 있음

- 제후들은 충성스런 신하를 거느리고 있음 

 

3. 통치방법 차이 

1) 군주와 대신들이 다스리는 나라: 튀르크

2) 군주와 제후들이 다스리는 나라: 프랑스 

 

-결론:  튀르크를 점령하기는 어렵지만, 일단 손에 넣으면 보전하기가 프랑스보다 쉬움

 

4. 튀르크 점령이 어려운 이유

 

-튀르크 왕국(오스만 제국을 말하는것 같습니다.) 은 그 나라 귀족들이 외부의 청탁 잘 안받아서 왕의 측근이 왕을 배반하고 나올때 공략하려는 계획을 세울 수 없음. 

-관리들이 왕의 은총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이간질 시키기 어려움

-튀르크 침공하려면, 반란을 기다려서는 안되고, 자기 실력을 강화해서 힘에 호소해야 함. 

-하지만 튀르크가 일단 전쟁에 패배하면, 왕계 이외에는 염려할 것이 없음. 

-왕계가 없어지면 백성들이 의지할 대상이 사라지기 때문.

 

5. 튀르크와 다른 프랑스

 

- 제후들은 군주에 대하여 언제나 불평불만을 품고 있음

-나라에 이변이 일어나기를 은근히 기다림

-그 중 한 사람과 손을 잡으면 쉽게 그 나라에 침입 가능

-하지만, 이 나라를 완전히 손에 넣으려면 어려움 

- 군주의 혈통을 끊는것만으로는 안됨.

-제후들이 남아 있어서 다음에 일어날 변혁을 조성하는 세력이 될 수 있음

-제후들을 모조리 근절할 수 없고, 기회가 오면 언제나 배반할 수 있음. 

 

6. 다리우스 왕의 성격은 튀르크 왕국과 흡사함

 

-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왕은 다리우스왕을 이기고, 페르시아를 분쟁 없이 영토를 보전할 수 있었음.

- 하지만 프랑스는 이렇게 못함.

 

7. 스페인, 프랑스, 그리스 등에서 끊임없이 로마인에 대한 반항이 일어난 까닭은 이런 나라에는 많은 영주들이 있어서 그들을 모조리 뿌리 뽑지 않는 한 로마인은 그 나라를 완전히 점령할 수가 없음.

*다리우스왕은 누구인가? 

-페르시아 왕국 군주
-숙적이던 마케도니아 왕국이 강성해지고 있었음
-마케도니아왕 필리포스2세가  그리스 도시국가 무력 정복(암살됨)
-마케도니이왕 필로프스 2세의 아들이 알렉산드로스 대왕(페르시아 정복이 목표)
-기원전 334년. 알렉산드로스 대왕 페르시아 공격
-기원전 333년. 이소스 전투에서 다리우스왕과 알렉산드로스 왕 맞대결(이소스 전투). 알렉산드로스 왕 승리.(천재 군인)

 

이소스(Issus)전투가 일어난 이소스는 현재 터키의 이스켄데룬 북쪽 지역이다.

 

 

8. 결론.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아시아 영토를 무난히 보전해 나가고 피로스(이탈리아 침공, 통치에 어려움을 겪고 실패)를 비롯한 그 밖의 모든 사람들이 점령한 땅을 유지하기 힘든 까닭은, 정복자의 수완이 좋고 나쁜데 영향이 있다기 보다는 오히려 정복된 나라의 환경이 같지 않은데 기인하는 것

 

 

>느낀점, 생각한 것

 

1. 우리나라는 제후나 봉건제도의 영주 같은 개념이 역사적으로 없었기 때문에, 군주와 대신들이 다스렸던 나라였다.

2. 스페인의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 이탈리아의 베네치아, 로마, 피렌체 등 각 지역별 특성이 뚜렷하고 지역색이 강한 것은 이런 제후들이 있던 나라였기 때문인것 같다. 마키아벨리가 지적했듯, 이런 나라는 각 지역의 특색이 매우 강해서 다스리기가 어려울것 같다.

 

정리를 해보면,

 

군주가 큰 권력을 쥐고 있으면, 하나로 뭉쳐지는 힘이 크고 무너지가 어려우나, 군주가 무너지면 나라가 와르르 무너질 가능성이 큰 것이고, (즉 다른 리더에게 다같이 쉽게 넘어감)

 

군주의 권력이 약하고, 각 영주들의 세력이 독립적으로 크면, 하나로 잘 뭉쳐지지는 않으나, 나라가 완전히 다른 나라로 넘어갈 가능성이 적다. (다른 리더에게도 잘 넘어가지 않음ㅋㅋ)

 

내 생각에, 

군주의 큰 권력 집단은 다소 옛날 조직 느낌이다. 

군주의 권력이 약하고 각 영주들의 세력이 커지는 것이 지금 현대화될 수록 일어나는 각 조직들의 특성인것 같다.

 

과거에야 강한 리더가 등장해서 잘 이끌어주기를 바랬고, 또 카리스마 있는 리더가 필요했지만,

사회가 발전될수록, 개개인이 자기 목소리를 내고, 자신들의 이익을 주장하며, 리더에 무조건 순종하는 시대는 지나가고 있는듯 하다. 

 

리더의 자리가 갈수록 어렵고, 사람들을 이끌어가는 것이 어려운 시대이다.

 

그렇다면 각 제후들과 영주들도 모두 인정할 수 있는 군주는 어떠해야 할까? 

군주론을 더 읽다보면 해답을 찾을 수 있겠지?^^

 

 

 

 

덧. 

 

또 터키 지역이 나왔다.

서양의 고대사, 중세사, 근대사에 터키는 도대체 얼마나 중요한 지역이었는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