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적유전자 13

[이기적 유전자](리처드 도킨스) 2장. 자기 복제자.

2장. 자기 복제자 1) 안정을 향하여 2) 안정한 것 다윈의 최적자 생존 survival of the fittest은 실제로 안정자 생존survival of the stable이라는 보다 더 일반적인 법칙의 특수한 예다. 세상은 안정한 것들로 가득 차 있다. 안정한 것이란 이름을 붙일 수 있을 만큼 지속적으로 존재하거나, 흔하게 존재하는 원자의 집단이다.  -원자는 안정한 패턴으로 되려는 경향이 있다. 3) 생명의 기원과 자기 복제자 4) 자기 복제자-자기 복제자의 상호 친화성을 통해 새로운 '안정성'이 세상에 나타났다 5) 복제의 오류-생물학적 자기 복제자의 복제 오류는 개량으로 이어졌을 것이다.-수명이 긴 자기 복제자는 점점 더 수가 많아졌을 것이다.-분자의 개채군에는 수명이 길어지는 '진화적 경향..

[이기적 유전자](리처드 도킨스) 1장. 집단선택설과 개체선택설.

1장. 사람은 왜 존재하는가? 읽으며 내용 정리.  1) 진화-가장 근본적 질문에 대한 대답.어떤 행성에서 지적 생물이 성숙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그 생물이 자기의 존재 이유를 처음으로 알아냈을 때다.  생명에는 의미가 있는가?우리는 무엇 때문에 존재하는가?인간이란 무엇인가?  "나(리처드 도킨스)의 목적인 이기주의와 이타주의의 생물학을 탐구하는 것이다." 2) 이기주의와 이타주의학문상의 흥미를 차치하고라도 이 주제가 인간에게 중요함은 말할 나위가 없다. 이 주제는 우리 사회생활의 모든 면, 즉 사랑과 미움, 싸움과 협력, 주는 것과 훔치는 것, 탐욕과 관대함 등에 모두 관련된다.  기존 저자들이 틀린 이유는, 이들은 진화에서 중요한 것은 개체(또는 유전자)의 이익이 아닌, 종(또는 집단)의 이익이라..

[이기적 유전자](리처드 도킨스). 10월의 목표 책. 이기적 유전자 목차

엄청난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SKY캐슬에서 고등학생들이 논술 고액과외 교재로 사용했던 책으로 기억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지성인의 대표인  곤충학자이자 생물학자 최재천 교수님이 인생책으로 꼽은 책이다.너무나 어려울것 같지만, 어떤내용이길래 한 사람의 인생책으로 꼽히는 걸까. 궁금했다. 사실창조론을 믿는 기독교인의 입장에서, 진화론 이야기는 선뜻 읽혀지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진화론 창조론을 떠나서인간은 지금도 유전자에 의해 유전정보가 다음세대로 전달되고 있다.  유전자에 의한 유전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에게 모두 일어나고 있는 사실이다.  거슬러 올라 인간의 창조 시기를 떠나,지금도 일어나고 있는 유전과 유전자의 이야기라고 생각하고 읽어보려고 한다. [이기적 유전자] 목차옮긴이의 말30주년 기..